자동차등록원부 갑을의 차이를 명확히 알아보세요. 소유 정보는 갑부, 저당·압류 등 권리 관계는 을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자동차등록원부란?
자동차등록원부는 차량의 등록 및 소유에 관련된 법적 사항을 기록한 공적 장부입니다.
이 등록원부는 두 종류로 구분되며, ‘갑(甲) 부’와 ‘을(乙) 부’로 나뉩니다.
2. 갑부 vs 을부 차이점
구분 | 갑부(甲部) | 을부(乙部) |
---|---|---|
내용 | 차량의 기본 정보 및 소유권 관련 내용 | 차량에 설정된 권리(저당권, 압류 등) |
주요정보 | 차량 번호, 차종, 제조사, 최초 등록일, 소유자 이름 및 주소 | 저당권 설정 여부, 압류·가압류 내역, 권리자 정보 |
확인 목적 | 차량 소유자 확인, 등록 이력 파악 | 저당, 압류 등의 법적 제한 여부 확인 |
중요도 | 중고차 거래 전 필수 확인 | 중고차 거래 전 반드시 확인 필요 |
예시 | “이 차량은 홍길동 명의이며 2020년에 최초 등록됨” | “이 차량은 금융사 A에 저당 설정이 있음” |
3. 각각의 활용 상황
✅ 갑부(甲部) – 차량의 신분증
-
차량의 기본 이력 정보 확인 시 필요
-
차량의 소유자, 이전 등록 내역 확인
-
중고차 명의이전 시, 명확한 소유권 확인을 위해 열람 필요
✅ 을부(乙部) – 차량의 권리관계 증명서
-
차량에 금융사 저당, 압류, 가압류 등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
중고차 구매 시 추가 비용 발생 위험을 막기 위해 필수 확인
-
캐피탈·리스 차량 여부도 을부에서 확인 가능
4. 실제 예시로 보는 갑·을부 정보
예시:
갑부: 소유자 – 홍길동, 최초 등록 – 2021년 5월, 제조사 – 현대자동차
을부: 저당권자 – ○○캐피탈, 설정일 – 2022년 3월, 채권금액 – 1,200만원
👉 이런 경우, 해당 차량은 금융사에 저당 잡힌 상태이므로, 명의 이전 시 저당 해지가 필요합니다.
5. 갑부/을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 정부24 사이트에서 열람/발급 가능:
-
정부24 자동차등록원부 발급
로그인 후 → 차량 정보 입력 → 갑부, 을부 중 선택 가능
-
요약 / 전체 발급 선택 가능
※ 전체 발급 시 갑부+을부 모두 포함됩니다.
6. 중고차 거래 시 주의사항
-
갑부만 확인하면 소유자만 알 수 있음
-
을부 확인 안 하면 저당 차량, 압류 차량 구매 위험
-
반드시 갑+을 전체 등록원부 발급 후 거래 진행해야 안전
✅ 요약 정리
-
갑부(甲部): 차량의 소유자 및 등록정보를 나타냄
-
을부(乙部): 차량에 설정된 법적 권리관계(저당권, 압류 등)를 기록
-
중고차 거래 시, 갑부와 을부 모두 확인해야 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