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납입액에 따라 기여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자 혜택, 납입 금액에 따른 수령액, 일시납입 여부까지 자세히 안내합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층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금을 지급하는 적립형 금융상품입니다. 최대 5년간 납입하며,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 이자를 더해 최대 약 5,000만 원까지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 납입 금액 구조
2-1. 월 최소·최대 납입액
-
최소 납입 금액: 월 10만 원
-
최대 납입 금액: 월 70만 원
청년 본인이 납입하는 금액에 따라 정부의 지원 규모도 달라지므로 가급적 최대 금액으로 납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2. 납입 기간 및 방식
-
총 납입 기간: 최대 5년 (60개월)
-
납입 방식: 자동이체 필수, 매월 일정 금액 불입
-
납입 주기: 매월 1회, 월납 방식
3. 정부기여금 구조 및 계산 방식
3-1.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정부는 청년의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기여금을 차등 지원합니다.
소득구간 | 월 납입액 (예시) | 정부기여금 (최대) | 총 예상 수령액 (5년 기준) |
---|---|---|---|
저소득층 | 70만 원 | 최대 월 40만 원 | 약 5,000만 원 |
중간소득 | 70만 원 | 약 월 20~30만 원 | 약 3,500만 원 |
고소득층 | 70만 원 | 약 월 10만 원 | 약 2,500만 원 |
✅ 지원금은 비례 방식이 아닌, 소득 구간별 차등 정액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3-2. 최대 수령 가능 금액
-
본인 납입: 월 70만 원 × 60개월 = 4,200만 원
-
정부기여금: 최대 월 40만 원 × 60개월 = 2,400만 원
-
총합: 약 6,600만 원 + 은행 이자
4. 이자 혜택과 과세 여부
4-1. 적용 이자율
-
금융기관별 정기적금 이자율 적용
-
평균 연 3% 내외
-
-
복리로 계산되며, 이자는 정부기여금과 합산되어 만기 지급
예시:
연 3% 이자, 5년간 월 70만 원 납입 시, 이자만 약 300만 원 이상 발생
4-2. 비과세 혜택
-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소득세가 비과세 처리됨
-
일반 예금 대비 세후 수익률이 높아지는 구조
일반 예금은 이자소득세 15.4%가 부과되지만, 본 제도는 전액 면세
5. 일시납입 가능 여부 및 유의사항
5-1. 일시납입 조건
-
원칙적으로는 매월 정기 납입만 허용
-
단, 아래 상황에서는 해당 월 내 일시 납입 허용
-
자동이체 실패
-
계좌잔고 부족
-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은행 상담 필요)
-
✅ 반드시 같은 달 내 보완 납입해야 정부기여금 불이익 방지 가능
5-2. 유의사항 및 불이익
-
선납 또는 이중납입 불가
-
6개월 이상 미납 시 계좌 해지 또는 자격 박탈
-
중도해지 시 지원금 전액 환수
6. 실제 수령 금액 시뮬레이션 예시
월 납입액 | 소득 구간 | 정부지원 | 5년 후 본인 납입 | 정부지원 합산 | 예상 이자 포함 총액 |
---|---|---|---|---|---|
30만 원 | 저소득층 | 월 30만 원 | 1,800만 원 | 3,600만 원 | 약 3,800만 원 |
50만 원 | 중간소득 | 월 20만 원 | 3,000만 원 | 4,200만 원 | 약 4,400만 원 |
70만 원 | 저소득층 | 월 40만 원 | 4,200만 원 | 6,600만 원 | 약 6,900만 원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일, 지급비율, 기준 등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일, 지급비율, 기준 등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구간별 총정리(1구간, 2구간, 0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