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구간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은 소득에 따라 1구간, 2구간, 0구간으로 나뉩니다. 각 구간별 지급 금액과 기준, 지원 조건을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구간이란?

청년도약계좌의 정부기여금은 청년의 개인소득가구소득을 기준으로
1구간(최대 지원), 2구간(중간 지원), 0구간(지원 없음)으로 나뉩니다.
구간은 가입 시점에 정부와 은행이 국세청 자료를 활용해 자동 산정합니다.


2. 1구간 (최대 지원)

2-1. 소득 기준

  • 개인소득: 연 2,4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2-2. 월 지원금액

  • 정부기여금 월 최대 40만 원

  • 본인 납입 최대 70만 원 시, 5년간 최대 2,400만 원 지원

📌 예시: 월 70만 원 납입 → 40만 원 정부지원 → 5년 후 약 6,600만 원 + 이자


3. 2구간 (중간 지원)

3-1. 소득 기준

  • 개인소득: 연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180% 이하

3-2. 월 지원금액

  • 정부기여금 월 최대 20만 원

  • 본인 납입 최대 70만 원 시, 5년간 최대 1,200만 원 지원

📌 예시: 월 50만 원 납입 → 20만 원 정부지원 → 5년 후 약 4,200만 원 + 이자


4. 0구간 (지원 없음)

4-1. 소득 기준

  • 개인소득: 연 3,600만 원 초과 ~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초과

  • 소득이 높아 정부기여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

4-2. 주의사항

  • 정부기여금은 없지만, 은행 이자비과세 혜택은 동일 적용

  • 납입금액 전액이 본인 적립금으로 쌓임

📌 예시: 월 70만 원 납입 → 5년 후 약 4,200만 원 + 이자


5. 구간별 총 수령 가능 금액

구간월 지원금액5년간 정부지원금본인 납입(월 70만 원 기준)총액(이자 제외)
1구간40만 원2,400만 원4,200만 원6,600만 원
2구간20만 원1,200만 원4,200만 원5,400만 원
0구간0원0원4,200만 원4,200만 원


6. 구간 확인 방법

  1. 복지로 → ‘청년도약계좌 자격 확인’ 메뉴

  2. 은행 앱(KB, 신한, 우리 등) → 상품 조회 → ‘정부지원금 예상금액’

  3. 가입 후 문자 알림 또는 계약서에서 확인 가능


7. 유의사항

  • 구간은 가입 시점 소득자료로 결정되며, 연 1회 재산정 가능

  • 소득 증가 시 구간이 상향(지원금 축소), 소득 감소 시 하향(지원금 확대) 조정

  •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과 조건 총정리(2025년)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이자, 금액, 일시납입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지급일, 지급비율, 기준 등 총정리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우리은행 청년도약계좌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NH농협 청년도약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