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는 동안 목돈 마련을 도와주는 장병내일준비적금. 단순한 적금을 넘어 정부의 지원까지 받을 수 있는 이 상품은 군 복무 중 놓쳐선 안 될 혜택 중 하나입니다. 본 글에서는 가입자격부터 가입방법, 해지절차, 간부 전환 시 주의사항, 정부지원 혜택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방법
① 본인 가입
- 신병교육기관(훈련소, 신병교육대대 등)에서 가입
-
부대 인사담당자가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격확인서’ 통합 발급
-
훈련기간 중 지정된 은행 담당자가 부대를 방문하여 가입 진행
-
본인이 희망하는 은행에 ‘가입신청서’와 ‘가입자격확인서’ 제출
- 자대 전입 후 가입
-
병역이행자 본인이 병무청 정보조회시스템에서 '가입자격확인서'를 직접 신청 및 출력
-
휴가나 외출 중 은행 직접 방문하여 가입 가능 (가입자격확인서 지참 필수)
-
2개 은행 가입 시, ‘가입자격확인서’ 2부 필요
② 온라인 비대면 가입
-
대상: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
방법:
-
나라사랑포털 앱 접속 → 장병내일준비적금 → '적금가입신청' 클릭
-
가입자격확인서 발급 및 저장
-
은행 앱에서 적금 계좌 비대면 가입 진행
-
-
주의사항:
-
제주은행은 2025년 1월부터 비대면 시스템 구축 예정
-
개명자의 경우 은행에 개명 서류 제출 필요
③ 대리가입 (부모 등)
-
대상: 인터넷 사용이 어려운 병역이행자
-
필수 서류:
-
주민등록등본(13자리 주민번호 포함)
-
부모 신분증, 가입자격확인서
-
가족관계증명서
-
-
주의: 가입자격확인서는 유효기간 3개월 이내
2. 장병내일준비적금 납입방법
① 자동이체
-
본인 계좌에서 매월 지정된 날짜에 ‘장병내일준비적금’ 계좌로 이체
-
은행에서 자동이체 신청 필수
-
반드시 적금계좌에 입금되어야 혜택 적용
② 급여 중앙공제
-
부대에서 월 급여 지급 시 정해진 금액을 공제하여 적금계좌로 입금
-
주의사항: 공제 신청만으로는 적금 납입이 되지 않음. 반드시 개인이 은행 계좌 개설 후 적금계좌에 자동 입금 필요
③ 개인 직접 납입
-
계좌이체, 은행 창구 납입 등 본인이 직접 입금하는 방식
-
입영 전 가입자는 자동이체 또는 직접 납입만 가능 (급여 공제 불가)
3. 장병내일준비적금 혜택
① 고금리 이자 (연 5% 수준)
-
은행에서 제공하는 일반 이자보다 높은 수준
-
납입 기간에 따라 차등 제공
납입 기간 평균 이자율 1~12개월 3.76% 12~16개월 4.32% 16개월 이상~만기 5.04%
② 이자소득 비과세
일반 적금의 이자소득에 부과되는 세금 면제
③ 정부 매칭지원금
-
납입 원금의 일정 비율만큼 정부가 추가로 적립
-
2022년: 33%
-
2023년: 71%
-
2024년 이후: 100%
-
-
만기 시 함께 수령
4. 장병내일준비적금 지원정책
🔹 매칭지원금이란?
-
병역이행 기간 중 납입한 적금 원금에 대해 국가가 추가로 자산형성 자금을 지급하는 정책
-
국방부, 병무청, 복무기관, 사회복무포털 등 공동 추진
🔹 대상자
-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자 중 만기까지 성실히 납입한 자
-
현역병, 상근예비역,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
🔹 지원금액 예시 (육군 복무 기준, 월 40만 원 납입)
구분 | 금액 |
---|---|
총 납입액 | 약 754.2만원 |
매칭지원금 (71%) | 약 535.5만원 |
만기 총 수령액 | 약 1,289만원 |
-
2024년 이후 가입자는 매칭 100% → 약 1,468.5만원 수령 가능
5. 장병내일준비적금 해지방법
① 대면 해지
-
본인이 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해지
-
필수 지참 서류:
-
병역증, 전역증, 병적증명서, 복무사실확인서 중 택 1
-
전역일 포함 서류 필수 (전역 전 해지 시)
-
-
2개 은행 가입 시: 각각 해지 서류 2부 필요
② 비대면 해지
-
나라사랑포털 앱 접속 → 장병내일준비적금 메뉴 → 전역확인서 발급
-
전자지갑 발급 후 해당 은행 앱에서 해지 신청
-
추가로 소속 부대 인사과에 증명서 제출 필요
-
지원 은행: 국민, 신한, 하나, 수협, IBK기업은행, 농협, 전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