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 한도 정리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LTV·DTI·DSR 기준으로 쉽게 설명하고 실제 계산 예시까지 제공하는 핵심 가이드입니다.


1. 주택담보대출 한도란?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대출받을 수 있는 최대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택의 담보가치와 신청인의 소득·부채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한도는 주로 다음 세 가지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 LTV (담보인정비율)

  • DTI (총부채상환비율)

  • DSR (총원리금상환비율)



2. LTV (Loan To Value, 담보인정비율)

  • 공식:
    LTV 한도 = 주택 담보가치 × LTV 비율

  • 적용 비율:

    • 규제지역 다주택자: 40%

    • 1주택자/비규제지역: 60~70%

    • 생애최초·신혼부부: 최대 80%까지 완화 가능

  • 예시:

    • 시세 6억 원 아파트, LTV 70% → 최대 대출 가능액: 4억 2천만 원

  • 주의사항:

    • 조정대상지역이나 투기과열지구일 경우 LTV가 더 낮게 적용됩니다.




3. DTI (Debt To Income, 총부채상환비율)

  • 공식:
    DTI = 연간 모든 대출 이자+원금 상환액 ÷ 연소득

  • 적용 한도:

    • 수도권 일반: 40%

    • 투기과열지구: 30% 이하

    • 소득이 낮을수록 실제 한도는 크게 줄어듭니다.

  • 영향:

    • 소득이 적으면, LTV 한도보다 더 적은 금액만 대출 가능




4. DSR (Debt Service Ratio, 총원리금상환비율)

  • 공식:
    DSR = 연간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액 ÷ 연소득

  • 적용 기준:

    • 은행권 DSR 규제: 40%

    • 제2금융권 DSR 규제: 50%

    • 다주택자나 고가주택 보유자: 더 엄격한 기준 적용

  • 예시:

    • 연봉 5,000만 원 × 40% = 연간 2,000만 원 원리금 상환 가능

    • 이를 월 기준으로 환산 → 약 166만 원/월 원리금까지 가능

    • 이 범위를 초과하면 대출 한도가 자동 축소됨




5. 정책형 대출 한도

  • 디딤돌대출:

    • 최대 2.5억 원

    •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무주택자 대상

  • 보금자리론:

    • 최대 3억~4억 원

    • 9억 이하 주택 대상

    • 소득 요건 충족 시 DSR 미적용 가능




6. 실제 계산 예시

조건:

  • 주택 시세: 6억 원

  • LTV: 70%

  • 연봉: 4,000만 원

  • DSR 40% 기준

1단계 - LTV 기준 최대 가능액:
6억 × 70% = 4억 2천만 원

2단계 - DSR 기준 한도 확인:
4,000만 원 × 40% = 1,600만 원/년
→ 월 133만 원 수준의 원리금 상환 가능
→ 월 133만 원에 맞는 대출금 = 약 2억 8천만 원 (20년 만기 기준)

결론:
이 사례의 실제 대출 한도는 LTV 4.2억보다 작은 2.8억 원이 됩니다.



7. 한도에 영향을 주는 추가 요소

항목 영향 내용
신용등급 낮을수록 금리 인상 및 한도 축소
기존 대출 기존 대출이 많을수록 DSR 초과 우려
상환 방식 원금균등 vs 원리금균등에 따라 상환액 달라짐
대출기간 기간이 길수록 한도 상승 가능성 있음
이자율 고정 vs 변동 금리에 따라 부담액 달라짐



요약 정리

항목 설명
LTV 담보가치 기준, 최대 80% 적용 가능
DTI 연소득 대비 전체 대출 상환 비율 (30~40%)
DSR 모든 대출 원리금 상환 합계 비율 (40~50%)
정책대출 최대 4억까지 한도 적용, DSR 미적용 사례 존재
실제 한도 LTV 기준보다 DSR 기준이 더 낮게 적용되는 경우 다수